본문 바로가기

재테크의재자도모르면서

적금 vs 예금 금리 적용에 대해서

일반적으로 예금 금리는 적금에 비해서 낮다.

하지만, 수익은 월등히 좋다. 이유는 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에 있다.


예금금리가 3%면 적금 금리는 4% 적금이 더 높다.

하지만 총 120만원을 1년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에 넣어두면

이자는 예금이 좋다. 그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.


120만원에는 정확히 3%의 금리가 단리로 매달 적용되어

1년이 되는 해 평균 3%의 금리의 이자를 받아가게 되는 것이다.

3만 6천원 세전이다. 이자소득세 15.4%를 제하면 3만원 가량을 받게 된다.




하지만 적금은 매달 10만원을 불입하게 된다. 첫달은 물론 4%의

금리를 1년동안 적용받을 수 있다. 하지만 다음달 불입하는 10만원은

4%를 온전히 받는게 아니라 4% / 11개월이 된다.


그럼 다음달은 4% / 10이 되는 것이다. 마지막 불입 12월은 4% / 12

거의 이자가 없다고 보면 되겠다.


은행이 바보도 아니고 10만원을 한달만 맡기는데 4%의 이자를 온전히 

준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것이다. 




적금은 세후 2만 2천원 가량이 되는데 예금으로 따지면 연이율 2% 정도 되는 것이다. 

그러니 예금이 일반적으로 적금에 비해 수익이 좋다는 말을 하는 것이고

당연히 목돈이 있다면 예금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것이다.


그런 사람들에게 그 고정관념을 깰 수 있도록 추천하는 것이 바로 이전에 작성한

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의 선납이연과 도루 꼬리자르기를 이용하는 적금개설이다.



2015/07/20 - [분류 전체보기] - 구르는 돈에는 이끼가 낀다 감상평


2015/07/20 - [분류 전체보기] - 적금풍차돌리기의 실제